400미터 허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00미터 허들은 1860년 영국에서 시작된 육상 종목으로, 10개의 허들을 넘으며 400m를 달리는 경기이다. 1900년 파리 올림픽에서 남자 경기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여자 경기는 1971년에 처음 기록된 후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이 되었다. 경기 규칙은 400m 거리, 10개의 허들, 남자 91.4cm, 여자 76.2cm의 허들 높이로 규정된다. 주요 선수로는 에드윈 모제스, 펠릭스 산체스, 카르스텐 와르홀름 등이 있으며, 세계 기록은 남자 45.94초(카르스텐 와르홀름, 2021), 여자 50.37초(시드니 맥러플린, 2024)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들 경주 - 110미터 허들
110미터 허들은 남자 육상 종목으로, 110m 거리에 10개의 허들을 설치하여 결승선 통과 시간을 겨루는 경기이며, 1896년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 후 주법 개발과 허들 디자인 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 허들 경주 - 100미터 허들
100미터 허들은 여자 육상 경기 종목으로, 100미터 거리에 10개의 허들을 설치하고 선수들이 이를 넘는 경주이며, 1972년 하계 올림픽부터 현재의 100m 허들로 진행되고, 토비 아무산(나이지리아)이 2022년에 12초 12의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육상 경기 종목 - 마라톤
마라톤은 기원전 490년 마라톤 전투에서 승전보를 전한 전령 이야기에서 유래되어 1896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42.195km 장거리 달리기 경주로, 남녀 경기로 나뉘어 세계 각지에서 개최되며 여성 참여는 20세기 후반에 확대되었다. - 육상 경기 종목 - 해머던지기
해머던지기는 금속구를 쇠줄에 매달아 던지는 육상 경기 종목으로,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아일랜드에서 유래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현대에는 남자 7.26kg, 여자 4kg의 금속구를 사용하고, 투척 거리를 기준으로 승패를 가리지만 높은 위험성 때문에 안전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
400미터 허들 | |
---|---|
기본 정보 | |
![]() | |
종목 | 400미터 허들 |
영어 이름 | 400 metres hurdles |
기록 | |
남자 세계 기록 | 카르스텐 바르홀름 45.94 (2021) |
남자 올림픽 기록 | 카르스텐 바르홀름 45.94 (2021) |
남자 선수권 기록 | 알리송 도스 산토스 46.29 (2022) |
여자 세계 기록 | 시드니 매클로플린-레브론 50.37 (2024) |
여자 올림픽 기록 | 시드니 매클로플린-레브론 50.37 (2024) |
여자 선수권 기록 | 시드니 매클로플린-레브론 50.68 (2022) |
허들 높이 | |
남자 | 91.4 cm (36 in) |
여자 | 76.2 cm (30 in) |
2. 역사
1935년까지 400m 허들 경기에서 선수가 3개 이상 허들을 넘어뜨리면 실격 처리되었고, 모든 허들을 깨끗하게 넘어야만 기록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400m 허들은 110m(100m) 허들과 달리, 후반 속도 저하에 따라 허들 간 보폭이 늘어나고, '역족(ぎゃくあし)'이라 불리는 기술을 써서 좌우 발을 바꿔가며 넘어야 한다. 역족 기술은 허들 간 보폭을 1보씩 미세 조정하여 속도 저하를 막는 데 도움을 준다. 최고 수준 선수들은 남자 13~15보, 여자 15~17보 간격으로 허들을 넘는다.
세계적으로 남자 400m 허들은 북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고, 유럽 선수들이 뒤따른다. 여자 400m 허들은 미국, 자메이카 등 아프리카계 선수들이 강하지만, 동유럽 선수들도 좋은 성적을 낸다. 아시아 선수들은 8위 안에 들면 좋은 성적이지만, 소수지만 상위 입상자도 있다.
케빈 영의 세계 기록(46초 78)은 오랫동안 깨지지 않다가, 2018년 압데라만 삼바가 46초 98을 기록하며 46초대 기록이 나오기 시작했다. 2021년 카르스텐 와르홀름이 46초 70으로 세계 기록을 29년 만에 경신했고,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45초 94로 다시 한번 기록을 단축했다. 2, 3위 선수도 올림픽 기록을 넘었다.
일본 고등학교 남자 400m 허들 기록은 다음과 같다.
순위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1 | 49초 09 | 위스에 스에 | 히로시마 현립 히로시마 미나미 고등학교 | 1996년 10월 14일 |
2 | 49초 77 | 키쿠타 히비키 | 호세이 대학 제2 고등학교 | 2024년 6월 28일 |
3 | 49초 90 | 데구치 하루토 | 히가시후쿠오카 고등학교 | 2019년 10월 20일 |
4 | 50초 01 | 이나가키 세이지 | 히로시마 현립 사이조 농업고등학교 | 1991년 10월 14일 |
5 | 50초 03 | 카키모리 히로시 | 나라 현립 소에가미 고등학교 | 1985년 8월 31일 |
6 | 50초 11 | 아베 타카토시 | 오카야마 현립 타마노 코난 고등학교 | 2009년 10월 3일 |
7 | 50초 14 | 시모다 하야토 | 토요카와 고등학교 | 2023년 8월 4일 |
8 | 50초 16 | 토요타 마사키 | 로쿠난 고등학교 | 2015년 10월 18일 |
9 | 50초 17 | 키시모토 타카유키 | 아오모리 현립 오오미나토 고등학교 | 2008년 10월 5일 |
콘노 료마 | 쿠리 학원 고등학교 | 2022년 6월 11일 |
일본 고등학교 여자 400m 허들 기록은 다음과 같다.
순위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1 | 56초 90 | 타키노 미라이 | 교토 타치바나 중학교・고등학교 | 2023년 10월 1일 |
2 | 57초 09 | 이시즈카 하루코 | 히가시 오사카 대학 케이아이 고등학교 | 2015년 7월 31일 |
3 | 57초 43 | 야마모토 아미 | 교토 타치바나 고등학교 | 2020년 10월 3일 |
4 | 57초 65 | 야마가타 이키코 | 후쿠이 현립 츠루가 고등학교 | 1992년 6월 13일 |
5 | 57초 73 | 오노 미즈나 | 사이타마 에이 고등학교 | 2020년 11월 3일 |
6 | 57초 85 | 치바 시오리 | 미야기 현 센다이 제1 고등학교 | 2023년 8월 4일 |
7 | 57초 90 | 에구치 사치코 | 요코하마 소토바 고등학교 | 2001년 6월 10일 |
8 | 57초 98 | 타넬 마리노 | 사이타마 에이 고등학교 | 2021년 7월 31일 |
9 | 58초 01 | 카와치 세오 | 히가시 오사카 대학 케이아이 고등학교 | 2021년 7월 18일 |
10 | 58초 03 | 코야마 카나 | 가와사키 시립 타치바나 고등학교 | 2016년 6월 25일 |
2. 1. 기원과 발전
남자 400m 허들 경주는 1860년 영국 옥스퍼드에서 440야드(402.336m) 코스로 처음 시작되었다. 참가자들은 코스를 달리면서 100cm가 넘는 12개의 나무 허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넘어야 했다.1895년에는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선수들이 밀어 넘어뜨릴 수 있는 약간 더 가벼운 구조물이 도입되었다. 1900년 1900년 하계 올림픽 파리에서 400m 허들이 올림픽 정식 종목이 되면서 경기 규격이 표준화되었다. 공식 거리는 400m, 허들 수는 10개, 허들 높이는 91.4cm로 설정되었다. 현재 허들은 첫 번째 허들까지 45m, 허들 사이 35m, 마지막 허들에서 결승선까지 40m 간격으로 주로에 배치된다.
여자 400m 허들 경주는 1971년에 처음 기록되었다. 1974년, 현재 World Athletics로 알려진 국제 아마추어 육상 연맹(IAAF)은 이 종목을 정식 종목으로 도입했으며, 허들 높이는 76.2cm로 낮아졌다. 여자 경주는 1984년 하계 올림픽 로스앤젤레스에서 처음 열렸다.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까지 남자 트랙 개인 종목 중 일본이 세계 최고 수준의 선수와 경쟁할 수 있었던 종목이었다. 야마자키 카즈히코가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7위, 스에츠구 다이가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연도 | 대회 | 개최국 | 선수 | 성적 | 기록 |
---|---|---|---|---|---|
1995 | 제5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예테보리) | 스웨덴 | 야마자키 카즈히코 | 7위 | 49초 22 |
2001 | 제8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에드먼턴) | 캐나다 | 스에츠구 다이 | 3위 | 47초 89 |
2005 | 제10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헬싱키) | 핀란드 | 스에츠구 다이 | 3위 | 48초 10 |
2. 2.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
400m 허들은 1900년 하계 올림픽 파리에서 남자 종목이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여자 400m 허들은 1980년 IAAF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특별 경기로 처음 개최되었는데, 이는 1980년 하계 올림픽 모스크바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후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남녀 400m 허들이 모두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1984년 하계 올림픽 로스앤젤레스에서는 여자 400m 허들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되었다.일본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남자 400m 허들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선수들을 배출했다. 야마자키 카즈히코는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7위를 기록했고, 스에츠구 다이는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두 번이나 동메달을 획득했다.
연도 | 대회 | 개최국 | 선수 | 성적 | 기록 |
---|---|---|---|---|---|
1995 | 제5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예테보리) | -- 스웨덴 | 야마자키 카즈히코 | 7위 | 49초 22 |
2001 | 제8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에드먼턴) | -- 캐나다 | 스에츠구 다이 | 3위 | 47초 89 |
2005 | 제10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헬싱키) | -- 핀란드 | 스에츠구 다이 | 3위 | 48초 10 |
2. 3. 대한민국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남자와 여자 400m 허들 종목이 개최되었다.3. 경기 규칙 및 기술
400미터 허들은 기법과 지구력 면에서 단거리 및 허들 종목 중 가장 어려운 종목 중 하나로 여겨진다.[1][2] 선수들은 400미터 평지 달리기를 빠르게 완주할 수 있는 능력, 뛰어난 허들 기술, 그리고 허들 사이의 보폭 패턴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400미터 허들에서 선수가 밟는 걸음 수를 리듬이라고 하며, 대부분의 선수들은 출발선에서부터 각 허들 사이에 몇 걸음을 뛸지 알고 있다. 출발선과 첫 번째 허들 사이는 45미터이며, 가장 빠른 여자 선수들은 21~23걸음, 가장 빠른 남자 선수들은 19~20걸음을 뛸 수 있다. 첫 번째 허들을 넘은 후, 허들 간 거리는 35미터이며, 열 번째 허들은 결승선에서 40미터 떨어져 있다. 두 번째 허들부터 열 번째 허들까지의 걸음 수는 선수의 능력, 속도, 기술, 개인적 선호도에 따라 다르다. 숙련된 선수들은 얼마나 빨리 뛰고 싶은지에 따라 리듬을 조절할 수 있는데, 카르스텐 발홀름은 일곱 번째 허들까지 13걸음을 뛰다가 파리 올림픽에서 마지막 세 개의 허들을 주도적인 다리로 넘는 것이 더 편하기 때문에 15걸음으로 바꾸었다. 허들 사이의 걸음 수가 짝수이면 양쪽 다리를 번갈아 가며 넘고, 홀수이면 같은 다리로 넘는다.
선수들은 레이스 마지막 150~100미터 구간에서 무산소 지구력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 시점에서는 무산소 해당 과정으로 인해 젖산(젖산의 공액염기)이 몸에 축적되기 때문이다.[3]
3. 1. 경기 규칙
400미터 허들은 400m 트랙에서 10개의 허들을 넘어야 하는 경기이다. 첫 번째 허들까지는 45m, 허들 사이는 35m, 마지막 허들에서 결승선까지는 4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1] 허들 높이는 남자 91.4cm, 여자 76.2cm이다.[1] 1935년까지는 3개 이상의 허들을 넘어뜨리면 실격 처리되었으나, 현재는 이 규정이 완화되었다.[1]허들을 넘을 때, 선수는 스터터 스텝 없이 원하는 다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블록을 설정해야 한다. 스터터 스텝은 주자가 도약하기 위해 보폭을 줄여야 할 때 발생한다. 레이스 전반에 걸쳐 보폭 길이 및 속도 조절은 허들에서 여러 보폭 떨어진 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스터터하거나 도약 시 허들에서 너무 멀리 떨어지면 운동량과 속도를 잃게 되기 때문이다.
도약 시작 시, 무릎을 허들 쪽으로 밀어 넣고 발을 뻗어야 한다. 뻗은 다리 자세는 스플릿 자세로 펴져야 하며, 허들을 넘을 때는 무릎을 약간 구부려야 한다. 뒷다리는 구부린 상태로 유지하고 짧게 유지하여 빠른 레버 작용을 통해 허들을 빠르게 넘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10미터(100미터) 허들과 다른 특징으로는, 후반의 속도 저하에 따라 허들 간의 보폭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앞으로 들어 올리는 발과 뒤에서 디디는 발의 좌우를 도중에 바꾸는 '역족(ぎゃくあし)' 기술이 있다. 같은 발로만 디딤·들어 올리기가 가능하면, 허들 간의 보폭 조정이 2보씩 단위가 되어, 중반 이후 허들링에서 막힘이나 늘어짐을 일으켜 실속의 원인이 되기 쉽다. 역족으로 허들링을 습득함으로써 이를 1보씩으로 가능하게 하여, 급격한 속도 저하를 방지한다. 최고 수준 선수의 허들 간 보폭은 남자의 경우 13보~15보, 여자의 경우 15~17보 전후이다.
하계 올림픽에서 남자 경기는 1900년 파리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이었지만, 여자 경기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다.
세계적으로 남자 경기는 북아메리카나 아프리카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고, 여자 경기는 미국과 자메이카를 중심으로 한 아프리카계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지만, 동유럽 선수들도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아시아 선수는 8위 이내 입상하면 좋은 성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소수이지만 상위 입상을 달성한 선수도 있다.
일본은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전반까지 남자 트랙 개인 종목 중 세계 최고 수준의 선수들과 경쟁할 수 있었던 종목이었다. 야마자키 카즈히코가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7위, 위스에 다이가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세계와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케빈 영의 세계 기록 46초 78 이후, 그의 기록 갱신은 커녕 46초대조차 기록되지 않았다. 하지만 2018년에 압데라만 삼바가 46초 98을 기록한 이후, 46초대의 기록이 잇따라 배출되게 된다. 2021년 7월에는 카르스텐 와르홀름이 46초 70으로 세계 기록을 29년 만에 갱신했고, 2020년 도쿄 올림픽 결승에서는 45초 94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웠다.
일본 남자 기록은 다음과 같다.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47초 89 | 토메스에 다이 | 호세이 대학 | 2001년 8월 10일 |
2 | 47초 93 | 나리사코 켄지 | 츠쿠바 대학 | 2006년 5월 6일 |
3 | 47초 99 | 토요타 켄 | 게이오기주쿠 대학 | 2024년 6월 28일 |
4 | 48초 41 | 키시모토 타카유키 | 호세이 대학 | 2012년 6월 9일 |
5 | 48초 46 | 이노우에 슌타 | 호세이 대학 | 2024년 9월 21일 |
6 | 48초 51 | 와타나베 슈 | 니혼체육대학 | 2024년 9월 21일 |
7 | 48초 58 | 쿠로카와 카즈키 | 호세이 대학 | 2023년 8월 21일 |
8 | 48초 59 | 시모다 하야토 | 토요 대학 | 2024년 9월 21일 |
9 | 48초 65 | 치바 요시히로 | 순텐도 대학 | 2001년 5월 20일 |
10 | 48초 68 | 사이토 요시히코 | 호세이 대학 | 1993년 6월 12일 |
일본 여자 기록은 다음과 같다.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55초 94 | 아오키 사야카 | 후쿠시마 대학 | 2008년 10월 4일 |
2 | 55초 99 | 타코 미야비 | 추오 대학 | 2010년 5월 8일 |
3 | 56초 06 | 야마모토 아미 | 리츠메이칸 대학 | 2023년 6월 4일 |
4 | 56초 21 | 요네다 토모미 | 추오 대학 | 2012년 6월 9일 |
5 | 56초 50 | 이브라힘 아이샤 | 삿포로 국제 대학 | 2020년 10월 3일 |
6 | 56초 73 | 쿠보쿠라 사토미 | 후쿠시마 대학 | 2004년 10월 3일 |
7 | 56초 75 | 이시즈카 하루코 | 히가시오사카 대학 | 2016년 5월 8일 |
8 | 56초 79 | 우메하라 사츠키 | 리츠메이칸 대학 | 2016년 9월 4일 |
9 | 56초 81 | 타키노 미라이 | 리츠메이칸 대학 | 2024년 10월 13일 |
10 | 56초 87 | 마츠오카 모에 | 추오 대학 | 2024년 9월 21일 |
일본 남자 20세 미만 기록은 다음과 같다.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48초 59 | 시모다 하야토 | 토요 대학 | 2024년 9월 21일 |
2 | 48초 78 | 후치카미 쇼타 | 와세다 대학 | 2024년 9월 21일 |
3 | 49초 09 | 스에마쓰 다이 | 히로시마 현립 히로시마 미나미 고등학교 | 1996년 10월 14일 |
4 | 49초 10 | 사이토 요시히코 | 호세이 대학 | 1991년 10월 17일 |
5 | 49초 19 | 구로카와 가즈키 | 호세이 대학 | 2020년 9월 13일 |
6 | 49초 46 | 아베 타카토시 | 주쿄 대학 | 2010년 7월 23일 |
7 | 49초 75 | 요시다 료이치 | 준텐도 대학 | 1984년 10월 20일 |
8 | 49초 77 | 기쿠타 히비키 | 호세이 대학 제2 고등학교 | 2024년 6월 28일 |
9 | 49초 86 | 기시모토 타카유키 | 호세이 대학 | 2009년 10월 18일 |
10 | 49초 90 | 데구치 하루토 | 히가시 후쿠오카 고등학교 | 2019년 10월 20일 |
10 | 49초 90 | 곤노 료마 | 쓰쿠바 대학 | 2023년 9월 16일 |
일본 여자 20세 미만 기록은 다음과 같다.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
1 | 56초 75 | 이시즈카 하루코 | 히가시 오사카 대학 | 2016년 5월 8일 |
2 | 56초 81 | 타키노 미라이 | 리츠메이칸 대학 | 2024년 10월 13일 |
3 | 57초 04 | 야마모토 아미 | 리츠메이칸 대학 | 2021년 6월 26일 |
4 | 57초 35 | 미키 시오리 | 히가시 오사카 대학 | 2010년 7월 24일 |
5 | 57초 57 | 마츠오카 모에 | 주오 대학 | 2022년 6월 12일 |
6 | 57초 65 | 야마가타 이키코 | 후쿠이 현립 츠루가 고등학교 | 1992년 6월 13일 |
7 | 57초 73 | 세키모토 모에카 | 와세다 대학 | 2019년 6월 30일 |
7 | 57초 73 | 오노 미즈나 | 사이타마 영 고등학교 | 2020년 11월 3일 |
9 | 57초 85 | 쓰가와 루이 | 와세다 대학 | 2020년 8월 15일 |
9 | 57초 85 | 지바 시오리 | 미야기현 센다이 제1 고등학교 | 2023년 8월 4일 |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일본 대표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 | 개최국 | 선수 | 성적 | 기록 | |
---|---|---|---|---|---|---|
1995 | 제5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예테보리) | 야마자키 카즈히코 | 7위 | 49초 22 | ||
2001 | 제8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에드먼턴) | 캐나다 | 스에츠구 다이 | 3위 | 47초 89 | |
2005 | 제10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헬싱키) | 스에츠구 다이 | 3위 | 48초 10 | ||
3. 2. 기술
400미터 허들은 기법과 지구력 면에서 단거리 및 허들 종목 중 가장 어려운 종목 중 하나로 여겨진다.[1] 선수들은 400미터 평지 달리기를 빠르게 완주할 수 있는 능력, 뛰어난 허들 기술, 그리고 허들 사이의 보폭 패턴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2]허들링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레이스 내내 보폭 패턴을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400미터 허들에서 선수가 밟는 걸음 수를 리듬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선수들은 출발선에서부터 각 허들 사이에 몇 걸음을 뛸지 알고 있다. 출발선과 첫 번째 허들 사이의 거리는 45미터이며, 가장 빠른 여자 선수들은 21~23걸음, 가장 빠른 남자 선수들은 19~20걸음을 뛸 수 있다. 첫 번째 허들을 넘은 후, 허들 간 거리는 35미터이며, 열 번째 허들은 결승선에서 40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두 번째 허들부터 열 번째 허들까지의 걸음 수는 선수의 능력, 속도, 기술, 개인적 선호도에 따라 다르다. 숙련된 선수들은 얼마나 빨리 뛰고 싶은지에 따라 리듬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르스텐 발홀름은 일곱 번째 허들까지 13걸음을 뛰다가 파리 올림픽에서 마지막 세 개의 허들을 주도적인 다리로 넘는 것이 더 편하기 때문에 15걸음으로 바꾸었다. 허들 사이의 걸음 수가 짝수이면 양쪽 다리를 번갈아 가며 넘고, 홀수이면 같은 다리로 넘는다.
굽은 주로에서 왼발로 허들을 넘으면 레인 안쪽에 더 가깝게 달릴 수 있어 이동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왼발을 주도적인 다리(리드 레그)로 사용하면 상체를 왼쪽으로 기울여 뒷다리(트레일 레그)를 통과시키기 쉽다. 반면, 오른발을 주도적인 다리로 사용하여 굽은 주로에서 허들을 넘는 선수는 발이나 발가락이 허들 주위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이는 경기 실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선수들은 레이스 마지막 150~100미터 구간에서 무산소 지구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 시점에서는 무산소 해당 과정으로 인해 젖산(젖산의 공액염기)이 몸에 축적되기 때문이다.[3]
허들을 넘기 전 마지막 보폭에서 허들을 향해 팔을 뻗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더 긴 보폭을 만들게 되어 추진력을 잃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이 몸의 중심에서 너무 멀리 떨어진 곳에 착지하면 추진력을 잃게 된다.
선수의 키와 힘에 따라 남자 선수는 각 허들 사이를 13~15보, 여자 선수는 15~17보의 보폭 패턴으로 훈련한다. 에드윈 모세스는 전체 경주에서 13보의 보폭을 유지한 최초의 선수였다. 체력이 약한 선수들은 일반적으로 각 보폭에서 바운드하거나 뻗지 않도록 더 긴 보폭 패턴을 유지하는데, 이는 속도 저하로 이어진다. 이러한 패턴은 허들 선수가 다리 교체 없이 경주 내내 자신의 주도적인 다리로 도약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이상적이다. 그러나 경주로 인한 피로는 선수들의 보폭 패턴을 벗어나게 하여 다리 교체를 강요할 수 있다.
많은 코치들은 어린 선수들이 양쪽 다리로 허들을 넘도록 훈련시킨다. 이는 주자가 지칠 때 보폭 길이가 줄어들어 다른 다리로 허들을 넘어야 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유용한 기술이다. 일부 선수들은 주도적인 다리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모든 전문 선수들은 양쪽 다리로 허들을 넘는 방법을 알고 있다.
4. 기록
400미터 허들 경기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2024년 7월 14일 기준)[4][5]
지역 | 남자 | 여자 | ||||
---|---|---|---|---|---|---|
시간 (초) | 선수 | 국가 | 시간 (초) | 선수 | 국가 | |
아프리카 | 47.10 | 사무엘 마테테 | 52.90 | 네자 비두안 | Maroc|모로코프랑스어 | |
아시아 | 46.98 | 압데라만 삼바 | قطر|카타르ar | 53.96 | 한칭 | 中国|중국중국어 |
쏭잉란 | 中国|중국중국어 | |||||
유럽 | 45.94 | 카르스텐 와홀름 | Norge|노르웨이no | 50.95 | 펨케 볼 | |
북중미, 중앙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 46.17 | 라이 벤자민 | 미국 | 50.37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미국 |
오세아니아 | 48.28 | 로한 로빈슨 | Australia|호주영어 | 53.17 | 데비 플린토프-킹 | Australia|호주영어 |
남아메리카 | 46.29 | 알리송 도스 산토스 | Brasil|브라질pt | 53.69 | 지아나 우드러프 | Panamá|파나마es |
- 400m 허들은 첫 번째 허들까지 45.0m, 허들 간 35.0m, 마지막 허들부터 골까지 40.0m 간격으로 설치된다. 남자 허들 높이는 91.4cm, 여자 허들 높이는 76.2cm이다.
- 110m(100m) 허들과 달리, 400m 허들은 후반 속도 저하에 따라 보폭이 증가하고, 들어 올리는 발과 디디는 발을 좌우로 바꾸는 '역족' 기술이 사용된다.
- 남자 400m 허들은 1900년 파리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이었지만, 여자 400m 허들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다.
- 세계적으로 남자 400m 허들은 북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고, 여자 400m 허들은 미국, 자메이카, 동유럽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아시아 선수는 8위 이내 입상이면 좋은 성적이다.
-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야마자키 카즈히코와 스에츠구 다이 등 일본 선수들이 세계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최근에는 세계 수준과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 케빈 영의 세계 기록(46초 78) 이후 기록 경신이 없었으나, 2018년 압데라만 삼바가 46초 98을 기록하며 46초대 기록이 나오기 시작했다. 2021년 카르스텐 와홀름이 45초 94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4. 1. 세계 기록
순위 | 기록 | 이름 | 국적 | 날짜 |
---|---|---|---|---|
1 | 45초 94 | 카르스텐 와홀름 | 노르웨이 | 2021년 8월 3일 |
2 | 46초 17 | 라이 벤자민 | 미국 | 2021년 8월 3일 |
3 | 46초 29 | 알리송 도스 산토스 | 브라질 | 2022년 7월 20일 |
4 | 46초 78 | 케빈 영 | 미국 | 1992년 8월 6일 |
5 | 46초 98 | 압데라만 삼바 | 카타르 | 2018년 6월 30일 |
6 | 47초 02 | 에드윈 모제스 | 미국 | 1983년 8월 31일 |
7 | 47초 03 | 브라이언 브론슨 | 미국 | 1998년 6월 21일 |
8 | 47초 08 | 카이론 맥마스터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2021년 8월 3일 |
9 | 47초 10 | 사무엘 마테테 | 1991년 8월 7일 | |
10 | 47초 19 | 앙드레 필립스 | 미국 | 1988년 9월 25일 |
순위 | 기록 | 이름 | 국적 | 날짜 |
---|---|---|---|---|
1 | 50초 37 | 시드니 매클로플린 | 미국 | 2024년 8월 8일 |
2 | 50초 95 | 펨케 볼 | 2024년 7월 14일 | |
3 | 51초 58 | 달릴라 무하마드 | 미국 | 2021년 8월 4일 |
4 | 51초 87 | 애나 코크렐 | 미국 | 2024년 8월 8일 |
5 | 52초 29 | 자스민 마리 존스 | 미국 | 2024년 8월 8일 |
6 | 52초 34 | 율리야 페초킨키나 | 러시아 | 2003년 8월 8일 |
7 | 52초 39 | 샤미에 리틀 | 미국 | 2021년 7월 4일 |
8 | 52초 42 | 멜레인 워커 | 자메이카 | 2009년 8월 20일 |
9 | 52초 47 | 라신다 뎀스 | 미국 | 2011년 9월 1일 |
10 | 52초 51 | 라셸 클레이턴 | 자메이카 | 2024년 6월 28일 |
4. 2. 올림픽 기록
순위 | 기록 | 선수 | 국가 | 날짜 | 장소 | |
---|---|---|---|---|---|---|
1 | 45.94 | 카르스텐 와홀름 | 2021년 8월 3일 | 도쿄 | [57] | |
2 | 46.17 | 라이 벤자민 | 2021년 8월 3일 | 도쿄 | [42] | |
3 | 46.72 | 알리송 도스 산토스 | 2021년 8월 3일 | 도쿄 | [42] |
순위 | 기록 | 선수 | 국가 | 날짜 | 장소 | |
---|---|---|---|---|---|---|
1 | 50.37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2024년 8월 8일 | 생드니 | [34] | |
2 | 50.65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2024년 6월 30일 | 유진 | [11] | |
3 | 50.68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2022년 7월 22일 | 유진 | [35][36] | |
4 | 51.41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2022년 6월 25일 | 유진 | [40] | |
5 | 51.46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2021년 8월 4일 | 도쿄 | [42] | |
6 | 51.58 | 달릴라 무하마드 | 2021년 8월 4일 | 도쿄 | [42] | |
7 | 51.61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2022년 6월 5일 | 내슈빌 | [43] | |
8 | 51.68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2022년 8월 8일 | 세케슈페헤르바르 | [44] | |
9 | 51.90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2021년 6월 27일 | 유진 | [46] | |
10 | 52.03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2021년 8월 4일 | 도쿄 | [42] | |
11 | 52.13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2024년 8월 6일 | 생드니 | [49] | |
12 | 52.17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2022년 7월 20일 | 유진 | [52] | |
13 | 52.23 | 달릴라 무하마드 | 2019년 10월 4일 | 도하 | [51] |
4. 3.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
남자 | 여자 | ||||
---|---|---|---|---|---|
시간 (초) | 선수 | 국가 | 시간 (초) | 선수 | 국가 |
46.29 | 알리송 도스 산토스 | Alison dos Santos|알리송 두스 산투스pt | 50.68 | 시드니 맥러플린 | Sydney McLaughlin|시드니 매클로플린영어 |
- 남자: 46.29초, 알리송 도스 산토스 (브라질), 2022년 유진 세계 선수권 대회.[35][36]
- 여자: 50.68초, 시드니 맥러플린 (미국), 2022년 유진 세계 선수권 대회.[35][36]
4. 4. 대륙별 기록
지역 | 남자 | 여자 | ||||
---|---|---|---|---|---|---|
시간 (초) | 선수 | 국가 | ||||
아프리카 | 47.10 | 사무엘 마테테 | 52.90 | 네자 비두안 | Maroc|모로코프랑스어 | |
아시아 | 46.98 | 압데라만 삼바 | قطر|카타르ar | 53.96 | 한칭 | 中国|중국중국어 |
유럽 | 45.94 | 카르스텐 와홀름 | Norge|노르웨이no | 50.95 | 펨케 볼 | |
북중미, 중앙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 46.17 | 라이 벤자민 | 미국 | 50.37 | 시드니 맥러플린-레브론 | 미국 |
오세아니아 | 48.28 | 로한 로빈슨 | Australia|호주영어 | 53.17 | 데비 플린토프-킹 | Australia|호주영어 |
남아메리카 | 46.29 | 알리송 도스 산토스 | Brasil|브라질pt | 53.69 | 지아나 우드러프 | Panamá|파나마es |
4. 5. 대한민국 기록
제시된 원본 자료에는 대한민국 기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추후 관련 자료를 찾아 업데이트해야 한다.5. 주요 선수
세계적으로 남자 400m 허들은 북아메리카나 아프리카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고, 유럽 선수들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여자 400m 허들은 남자와 마찬가지로 미국과 자메이카를 중심으로 한 아프리카계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지만, 동유럽 선수들도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3] 아시아 선수는 이 종목에서 8위 이내에 입상하면 좋은 성적을 거둔 것으로 평가받지만, 소수지만 상위 입상을 달성한 선수도 있다.[3]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까지 남자 트랙 개인 종목 중 일본이 세계 최고 수준의 선수들과 경쟁할 수 있었던 종목이었다.[3] 야마자키 카즈히코는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7위 입상을 달성했고,[3] 스에쓰구 다이는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두 번 동메달을 획득했다.[3] 그러나 최근에는 스에쓰구 다이의 후계자로 여겨졌던 나리사코 켄지 등이 부진하고, 그 뒤를 따르는 선수도 적어, 이전과 비교해 세계와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3]
연도 | 대회 | 개최국 | 선수 | 성적 | 기록 |
---|---|---|---|---|---|
1995 | 제5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예테보리) | 스웨덴 | 야마자키 카즈히코 | 7위 | 49초 22[4] |
2001 | 제8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에드먼턴) | 캐나다 | 스에쓰구 다이 | 3위 | 47초 89[4] |
2005 | 제10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헬싱키) | 핀란드 | 스에쓰구 다이 | 3위 | 48초 10[4] |
5. 1. 남자
400m 허들은 허들을 넘는 기술과 스피드, 지구력을 모두 요구하는 육상 경기 종목이다. 남자 400m 허들은 1900년 파리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세계 기록은 카르스텐 와르홀름 (노르웨이)이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세운 45초 94이다. 와홀름은 이 종목에서 올림픽 금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 3회 우승을 차지한 독보적인 선수이다.[1]
와홀름 외에도 라이 벤자민 (미국)은 올림픽 은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알리송 도스 산토스 (브라질)는 올림픽 동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하며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과거에는 에드윈 모세스 (미국)가 올림픽 2회 우승, 세계 선수권 대회 2회 우승, 10년간 세계 기록 보유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케빈 영 (미국) 또한 올림픽 금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전 세계 기록 보유자로 이름을 남겼다. 펠릭스 산체스 (도미니카 공화국)는 올림픽 2회 우승, 세계 선수권 대회 2회 우승을 기록했다.
경기 규칙으로 첫 번째 허들까지의 거리는 45.0m이고, 이후 35.0m 간격으로 10개의 허들이 설치되며, 마지막 허들부터 결승선까지는 40.0m이다. 허들 높이는 91.4cm이다.[2]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에는 야마자키 카즈히코가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7위를 기록하고, 스에쓰구 다이가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일본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거두기도 했다.[3]
순위 | 기록 | 이름 | 국적 | 날짜 |
---|---|---|---|---|
1 | 45초 94 | 카르스텐 와르홀름 | 노르웨이 | 2021년 8월 3일[4] |
2 | 46초 17 | 라이 벤자민 | 미국 | 2021년 8월 3일[4] |
3 | 46초 29 | 알리송 도스 산토스 | 브라질 | 2022년 7월 20일[4] |
4 | 46초 78 | 케빈 영 | 미국 | 1992년 8월 6일[4] |
5 | 46초 98 | 압데라만 삼바 | 카타르 | 2018년 6월 30일[4] |
6 | 47초 02 | 에드윈 모제스 | 미국 | 1983년 8월 31일[4] |
7 | 47초 03 | 브라이언 브론슨 | 미국 | 1998년 6월 21일[4] |
8 | 47초 08 | 카이론 맥마스터 |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 2021년 8월 3일[4] |
9 | 47초 10 | 사무엘 마테테 | 1991년 8월 7일[4] | |
10 | 47초 19 | 앙드레 필립스 | 미국 | 1988년 9월 25일[4] |
5. 2. 여자
여자 400m 허들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주요 선수
- 시드니 맥러플린 (미국): 현재 세계 기록 보유자, 2020년 도쿄 올림픽 2관왕, 2022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
- 펨케 볼 (네덜란드): 2020년 도쿄 올림픽 동메달, 202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
- 댈릴라 무하마드 (미국):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금메달, 201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
- 샐리 거넬 (영국):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
- 올림픽 메달리스트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84 로스앤젤레스 | |||
1988 서울 | |||
1992 바르셀로나 | |||
1996 애틀랜타 | |||
2000 시드니 | |||
2004 아테네 | |||
2008 베이징 | |||
2012 런던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
2020 도쿄 | |||
2024 파리 |
- 경기 특징
- 여자 400m 허들의 허들 높이는 76.2cm이다.[1]
- 첫 번째 허들까지의 거리는 45.0m이고, 이후 35.0m 간격으로 10개의 허들이 설치되며, 마지막 허들부터 결승선까지는 40.0m이다.[1]
- 최고 수준 선수들의 허들 간 보폭은 15~17보 전후이다.[1]
- 세계적으로 미국과 자메이카를 중심으로 한 아프리카계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며, 동유럽 출신 선수들도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1]
- 역대 기록
순위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1 | 52초 75 | 시드니 맥러플린 | 미국 | 2018년 5월 13일 |
2 | 54초 40 | 왕싱 | 중국 | 2005년 10월 21일 |
3 | 54초 44 | 아카라 개릿 | 미국 | 2024년 6월 6일 |
4 | 54초 58 | 리스타난나 트레이시 | 자메이카 | 2011년 6월 24일 |
5 | 54초 70 | 라신다 데무스 | 미국 | 2002년 7월 19일 |
6 | 54초 93 | 리 루이 | 중국 | 1997년 10월 22일 |
7 | 55초 05 | 제니 판 데르 발트 | 2018년 5월 17일 | |
8 | 55초 07 | 샤미르 리틀 | 미국 | 2014년 6월 13일 |
9 | 55초 11 | 칼리스 스펜서 | 자메이카 | 2006년 8월 17일 |
10 | 55초 15 | 황샤오샤오 | 중국 | 2001년 11월 22일 |
순위 | 기록 | 이름 | 소속 | 날짜 |
---|---|---|---|---|
1 | 53초 39 | 케미 아데코야 | 바레인 | 2023년 8월 22일 |
2 | 53초 96 | 한칭 | 중국 | 1993년 9월 9일 |
송영란 | 중국 | 2001년 11월 22일 | ||
4 | 54초 00 | 황샤오샤오 | 중국 | 2007년 8월 28일 |
5 | 54초 34 | Tatyana Pavlova | 우즈베키스탄 | 1985년 8월 2일 |
6 | 54초 40 | 왕싱 | 중국 | 2005년 10월 21일 |
7 | 54초 47 | Guo Yue | 중국 | 1993년 9월 9일 |
8 | 54초 50 | Natalya Alimzhanova | 카자흐스탄 | 2000년 5월 27일 |
9 | 54초 52 | Ling Xueyan | 중국 | 1993년 9월 9일 |
10 | 54초 75 | 모자디에 | 중국 | 2024년 8월 5일 |
순위 | 기록 | 이름 | 소속 | 장소 | 날짜 |
---|---|---|---|---|---|
1 | 55초 34 | 쿠보쿠라 사토미 | 니가타 알비렉스 | 오사카 | 2011년 6월 26일 |
2 | 55초 89 | 요시다 마키코 | FSG 칼리지 리그 | 요코하마 | 2003년 6월 8일 |
3 | 55초 94 | 아오키 사야카 | 후쿠시마 대학 | 오이타 | 2008년 10월 4일 |
4 | 55초 99 | 타코 미야비 | 주오 대학 | 오사카 | 2010년 5월 8일 |
5 | 56초 06 | 야마모토 아미 | 리츠메이칸 대학 | 오사카 | 2023년 6월 4일 |
6 | 56초 21 | 요네다 토미 | 주오 대학 | 오사카 | 2012년 6월 9일 |
7 | 56초 50 | 이브라힘 아이샤 | 삿포로 국제 대학 | 니가타 | 2020년 10월 3일 |
우츠노미야 에리 | 하세가와 체육 시설 | 도쿄 | 2021년 5월 9일 | ||
9 | 56초 63 | 키라 아이미 | 앳홈 | 오사카 | 2014년 5월 11일 |
10 | 56초 75 | 이시즈카 하루코 | 히가시 오사카 대학 | 가와사키 | 2016년 5월 8일 |
5. 3. 일본 주요 선수
1995년 예테보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야마자키 카즈히코가 7위에 입상하였다.[4] 2001년 에드먼턴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05년 헬싱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타메스에 다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4]연도 | 대회 | 개최국 | 선수 | 성적 | 기록 |
---|---|---|---|---|---|
1995 | 제5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예테보리) | 야마자키 카즈히코 | 7위 | 49초 22 | |
2001 | 제8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에드먼턴) | 타메스에 다이 | 3위 | 47초 89 | |
2005 | 제10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헬싱키) | 타메스에 다이 | 3위 | 48초 10 | |
6. 논란 및 쟁점
400미터 허들 종목은 여자 허들 높이와 관련된 논쟁이 존재한다.[58]
6. 1. 여자 허들 높이 논쟁
일부 전문가들은 여자 400m 허들의 높이(76.2cm)가 남자 허들 높이(91.4cm)에 비해 낮아 기술적 난이도가 떨어진다고 지적하며, 여자 허들 높이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58]참조
[1]
간행물
400 Meter Hurdle Theory
https://archive.org/[...]
Track & Field News
2021-08-03
[2]
간행물
The 400m Hurdles
https://www.worldath[...]
Meyer & Meyer Sport
2021-08-03
[3]
간행물
Endurance in the 400 metres Hurdles
https://www.worldath[...]
Meyer & Meyer Sport
2021-08-04
[4]
웹사이트
Men's outdoor 400 Metres Hurdles Records
https://www.worldath[...]
"[[World Athletics]]"
2022-07-20
[5]
웹사이트
Women's outdoor 400 Metres Hurdles Records
https://www.worldath[...]
"[[World Athletics]]"
2022-07-20
[6]
웹사이트
All-time men's best 400m hurdles
http://www.alltime-a[...]
2019-08-12
[7]
웹사이트
All time Top Lists: Senior Outdoor, 400 Metres Hurdles, Men
https://worldathleti[...]
"[[World Athletics]]"
2021-11-21
[8]
웹사이트
Men's 400m Hurdles Results
https://olympics.com[...]
2021-08-18
[9]
웹사이트
Men's 400m Hurdles 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2-07-22
[10]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
https://livecache.sp[...]
2023-09-19
[11]
웹사이트
McLaughlin-Levrone breaks world 400m hurdles record at US Trials
https://worldathleti[...]
2024-07-01
[12]
웹사이트
Paulino and Benjamin dazzle over one lap to win Olympic golds in Paris
https://worldathleti[...]
2024-08-09
[13]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s
https://livecache.sp[...]
sportresult.com
2023-07-21
[14]
웹사이트
Warholm and Ingebrigtsen outstanding in Oslo
https://worldathleti[...]
World Athletics
2023-06-16
[15]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s
https://www.watchath[...]
2023-07-10
[16]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
https://ps-cache.web[...]
2024-05-30
[17]
웹사이트
Benjamin and McLaughlin-Levrone impress in Los Angeles
https://worldathleti[...]
2024-05-19
[18]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
https://ps-cache.web[...]
2024-07-17
[19]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
https://ps-cache.web[...]
2024-05-30
[20]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
https://ps-cache.web[...]
2024-07-17
[21]
웹사이트
Karsten Warholm med sitt fjerde raskaste løp nokosinne: – Det er tullete
https://www.nrk.no/s[...]
2023-07-06
[22]
뉴스
Duplantis scales 6.16m in Stockholm for highest ever outdoor vault
https://www.worldath[...]
World Athletics
2022-07-01
[23]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s
https://ps-cache.web[...]
2024-05-11
[24]
웹사이트
Men's 400m Hurdles 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2-07-22
[25]
웹사이트
Men's 400m Hurdles 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3-08-24
[26]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s
http://static.sportr[...]
2018-07-01
[27]
웹사이트
Men 400 M Hurdles
https://flashresults[...]
2024-06-08
[28]
웹사이트
400m Hurdles Semifinal Results Summary
https://media.aws.ia[...]
2023-08-21
[29]
웹사이트
400m Hurdles Semifinal Results Summary
https://media.aws.ia[...]
2023-08-21
[30]
웹사이트
Men's 400m Hurdles 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2-07-22
[31]
웹사이트
Thompson and Jackson win 100m titles at Jamaican Championships
https://worldathleti[...]
2024-06-30
[32]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s
https://ps-cache.web[...]
2024-08-28
[33]
웹사이트
400 Metres Hurdles Women All Time
https://www.iaaf.org[...]
"[[IAAF]]"
2019-09-27
[34]
웹사이트
Women's 400m Hurdles - Final results
https://olympics.com[...]
2024-08-09
[35]
웹사이트
400m Hurldes 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2-07-23
[36]
뉴스
McLaughlin breaks world 400m hurdles record with 50.68 at US Championships
https://worldathleti[...]
World Athletics
2022-06-28
[37]
웹사이트
Bol breaks European 400m hurdles record in La Chaux-de-Fonds
https://worldathleti[...]
2024-07-14
[38]
웹사이트
400m Hurdles Women Results
https://www.resispri[...]
2024-07-14
[39]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s
https://ps-cache.web[...]
2024-07-20
[40]
뉴스
McLaughlin breaks world 400m hurdles record with 51.41 at US Championships
https://worldathleti[...]
World Athletics
2022-06-28
[41]
웹사이트
400m Hurldes Results
https://livecache.sp[...]
2023-07-23
[42]
웹사이트
Athletics - Final Results
https://olympics.com[...]
2021-08-04
[43]
뉴스
Sydney McLaughlin runs 51.61 seconds in her first 400m hurdles race this year in Nashville
https://www.watchath[...]
2022-06-28
[44]
뉴스
McLaughlin sets European all-comers' record of 51.68 in Szekesfehervar
https://worldathleti[...]
World Athletics
2022-08-22
[45]
웹사이트
400m Hurdles 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3-08-26
[46]
웹사이트
Sydney McLaughlin Shatters World Record in 400-Meter Hurdles at U.S. Olympic Trials
https://www.huffpost[...]
2021-06-28
[47]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s
https://livecache.sp[...]
2023-09-20
[48]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
https://livecache.sp[...]
2023-09-08
[49]
웹사이트
"Women's 400m Hurdles - Semi-Final 2/3 results"
https://olympics.com[...]
2024-08-08
[50]
간행물
Results – 400m Hurdles Women
https://ps-cache.web[...]
Diamond League
2024-08-25
[51]
웹사이트
400m Hurdles Results
https://media.aws.ia[...]
IAAF
2019-10-06
[52]
웹사이트
Women's 400m Hurdles Semi-Final Results
https://media.aws.ia[...]
2022-07-22
[53]
웹사이트
Wanda Diamond League Lausanne - 400 metres hurdles women results
https://ps-cache.web[...]
2024-08-21
[54]
뉴스
Duplantis soars over meeting record in Stockholm
https://www.worldath[...]
World Athletics
2021-07-16
[55]
웹사이트
Thompson and Jackson win 100m titles at Jamaican Championships
https://worldathleti[...]
2024-06-29
[56]
웹사이트
400 Metres Hurdles Results
http://www.iaaf.org/[...]
IAAF
2012-08-09
[57]
웹사이트
Abrahamson: Warholm, Benjamin deliver greatest 400m hurdle race in human history
https://www.nbcolymp[...]
2021-08-04
[58]
문서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http://www.gbrathlet[...]
GBR Athletics
[59]
웹사이트
400 Metres Hurdles - men - senior - outdoor
https://worldathleti[...]
2023-09-17
[60]
웹사이트
400 Metres Hurdles - women - senior - outdoor
https://worldathleti[...]
2024-08-08
[61]
서적
黒川、最強「ヨンパー」証明 攻めの走りで激戦制す―陸上日本選手権
https://web.archive.[...]
時事ドットコム
2021-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